반응형
스레드 VS 트위터 비교
트위터와 스레드는 둘 다 텍스트 기반의 마이크로블로깅 (microblogging) 앱으로, 짧은 글을 올리고 다른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두 앱은 계정 관리 방식, 콘텐츠 피드 제공 방식, 검색 기능, 게시 가능한 내용, 사용자 참여 방식, 가격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
항목 | 트위터 | 스레드 |
계정 관리 | 다른 소셜 미디어 계정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. 계정을 삭제해도 다른 소셜 미디어 페이지에 영향을 주지 않음. | 인스타그램 계정과 연동됨. 인스타그램 계정을 삭제해야 계정을 삭제할 수 있음. |
콘텐츠 피드 | 게시물 피드를 보다 철저하게 큐레이팅하여 제공함. 사용자는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할 수 있음. | 팔로우하는 계정과 최신 게시물이 혼합된 피드가 하나뿐임. 현재 스레드 피드에서는 계정을 차단하고 단어를 음소거할 수 있음. |
검색 | 단어나 구를 검색하여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최근 관련 게시물을 볼 수 있음. | 계정만 검색할 수 있음. 이로 인해 스레드는 트위터보다 뉴스나 유행하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려울 수 있음. |
게시 | 이미지, 비디오, 기사 및 짧은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음. 주요 차이점은 문자 제한이 280자에 불과함. | 이미지, 비디오, 기사 및 짧은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음. 한 게시물에는 500자까지 지원되며, 외부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나 최대 5분 길이의 동영상도 올릴 수 있음. |
참여방식 | 좋아요 버튼, 댓글 도구, 리트윗 및 인용하기 기능, 공유 옵션이 있음. | 좋아요 버튼, 댓글 도구, 내 피드로 공유 등 아이콘이 있음. |
비용 | 구독 기반 Twitter Blue에 일부 기능이 잠겨있으며 가격은 월 10400원 또는 연간 109,000원 부터 시작되며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로 결제할 경우 월 14300원, 연간 15만원의 비용이 청구됨. | 완전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로서는 광고가 없음. |
스레드는 인스타그램과 연동되는 요구사항이 없습니다. 또한, 스레드는 탈중앙형 소셜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 ‘액티비티펍’ (ActivityPub)을 추후 적용해 마스토돈이나 워드프레스 등 동일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른 앱들과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. 스레드는 트위터의 궁극적인 대안일까요, 아니면 단지 다른 온라인 유행에 불과할까요?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반응형
'생활 정보 >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FTS] 길고양이 만졌다가.. '살인진드기' (1) | 2023.07.11 |
---|---|
[에코프로] 장중 100만 '황제주' 등극 ? (0) | 2023.07.10 |
'흑석자이' 청약 홈페이지 마비 (0) | 2023.06.26 |
[2023년 장마] 장마 기간과 대비/습기 제거 (0) | 2023.06.26 |